PET/그외 애완동물105 청설모 안녕하세요. 요즘은 산에 다니다가 보면 다람쥐는 보이지 않고, 청설모는 많이 보입니다. 한 간의 이야기로는 청설모가 다람쥐를 잡아먹어서 다람쥐가 없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했었는데요..... 설마겠죠..^^ 청설모의 특징 청설모의 경우 다람쥣과의 한 종류입니다. 청설모의 신체적 특성상 나무 위에서 생활을 하는데 편리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청설모는 큰 나무에 보금자리를 만드는데, 나무줄기 또는 땅 위에서 10~15m 높이의 위치에 집을 만듭니다. 청설모는 몸길이가 21~26cm , 꼬리는 18~21cm로 다람쥐보다 몸이 크며, 청설모는 주로 낮에 활동을 합니다. 동면을 하지 않으며 추위를 잘 견딥니다. 청설모의 먹이 산림에서 서식을 하며 잣남, 호두나무, 밤나무, 상수리나무, 가문비나무 등의 열매를 와 나뭇잎.. 2020. 7. 7. 사랑앵무 안녕하세요. 오늘의 포스팅은 애완동물 중에서 애완 앵무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사랑앵무라고 애완동물 파는 곳이나 동물원의 먹이 주는 곳에 가면 쉽게 볼 수 있는 앵무새입니다. 사랑앵무의 경우 원산지는 오스트레일리아 전역입니다. 사랑앵무의 특징 체질이 튼튼하여 기르기 쉬워 애완동물을 기르는 초보자분들도 쉽게 접근을 할 수 있는 애완용앵무 입니다. 추위에 약한 편이기 때문에 어떤 분들은 아파트의 베란다에 키우지만, 추운 베란다에서 키우는 것은 절대로 하셔서는 안 됩니다. 사랑앵무의 경우 흔히 말하는 잉꼬입니다. 잉꼬부부 이야기를 많이 하죠..~~ 사랑앵무를 키우는 사육환경은 민감하지 않고, 벌식이 잘되며 앵무의 깃털이 색이 다양하고 아름다워 친밀감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암수 구분을 하.. 2020. 7. 5. 카멜레온 안녕하세요.. 카멜레온 하면 어떤 것이 생각이 나시나요? 라푼젤이라는 애니메이션에서 나온 카멜레온이 생각이 나실 것입니다. 그것 때문에 카멜레온을 분양을 받아 키우고 싶으신 분들이 많았을 것인데요. 카멜레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카멜레온의 특징 카멜레온은 몸의 색깔을 자유롭게 바꾸고 긴 혀로 먹이를 잡아 먹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카멜레온의 종류는 카멜레온 속 70종, 브루케시아 속 16종, 아시아 3종, 지중해 연안 1종이 살고 있으면 나머지는 사하라 사막 및 마다가스카르에 분포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많이 수입이 되고 있는 카멜레온은 베일드 카멜레온으로 귀여운 외모, 온순한 성격, 강한 체질과 키우기 쉬운 난이도로 많은 인기를 받고 있습니다. 베일드 카멜레온의 원래 서식지는 아라비아 반도의 .. 2020. 7. 4. 장수풍뎅이 안녕하세요. 지난번에는 사슴벌레에 이은 이번에는 장수풍뎅이 입니다. 장수풍뎅이는 정말로 외형상 멋있게 생기지 않았나요? 장수풍뎅이는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풍뎅이 종류 중에서는 가장 몸집이 큰것으로 알려진 곤충입니다. 수컷의 머리에는 긴 뿔이 나와있고 가슴등판에도 뿔이 있는데 장수풍뎅이의 생김새를 나타내는 가장 큰 특징입니다. 사슴벌레와 마찮가지로 숲속의 참나무에서 주로 발견이 되며 오래된 나무에서 흐르는 진을 먹고 자랍니다. 장수풍뎅이의 특성 장수풍뎅이의 몸 길이은 30~85mm 정도이며, 몸은 전체가 검은색 입니다. 주 서식지는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인도차이나 에 분포를 하며 낙엽활엽수림에 서식을 합니다. 장수풍뎅이의 애벌레는 낙엽이 두껍게 쌓인 곳에서 살며 야행성으로 밤에는 불빛에도 날아 듭.. 2020. 7. 2. 다마고치 안녕하세요... 다마고치를 아시나요? 애완동물 블로그이지만, 전자 애완동물? 애완 소품? 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참 인기가 많았었던 기계죠... 다마고치라고도 하고요. 처음에 일본의 반다이사가 1996년에 출시한 휴대용 게임기입니다. 가상으로 동물에게 먹이를 주고 놀아주고 다양한 미니게임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선풍적으로 인기를 끌었었습니다. 타마고치는 달걀을 뜻하는 일본어 타마고 와 영어로 시계 '와치' 합친 단어 입니다. 달걀 시계인 것 이죠... 다마고치의 방식은 사이버 애완동물입니다. 처음부터 알부터 시작하여 직접 키우면서 배가 고프면 밥을 주고 잘 시간이면 불도 꺼주고 놀아달라고 하면 놀아주기 까지, 그리고 아프면 치료까지 해줘야 하는 전자 반려동물입니다. 요즘.. 2020. 6. 27. 황소개구리 개체수 감소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생태계 파괴종으로 불리었다가 요즘은 눈에 잘 띄지 않게 개체수가 줄어든 개구리입니다. 울음소리가 황소처럼 운다고 하여 황소개구리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1970년대부터 농가의 소득을 올리려는 목적으로 미국과 일본으로부터 들여왔으며, 1970년대 중반에 황소개구리를 사육하던 농가에서 황소개구리를 무단으로 방류를 했습니다. 소독과 연결이 되지 않기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황소개구리는 천적이 없는 관계로 개체수는 급격하게 증가를 하였고, 우리나라의 고유종을 잡아먹기 시작하였습니다. 그 이후에 대대적인 황소개구리 포획작전도 전개를 하였으며, 황소개구리를 이용한 다양한 요리도 개발이 되었습니다. 그 후 황소개구리의 천적인 뱀, 왜가리, 너구리 등이 잡아먹고, 황소개구리의.. 2020. 6. 26.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